이론 164

목의 뒷쪽에 있는 근육들

소후두 직근 [小後頭直筋] : 뒤통수밑 근육 가운데 하나. 고리뼈 뒤 결절에서 일어나 뒤통수뼈의 아래 목덜미선으로 붙으며, 머리를 돌리고 뒤로 당기는 작용을 한다. 대후두 직근 [大後頭直筋] : 목의 뒤에서 뒤통수 삼각을 이루는 근육 가운데 하나. 중쇠뼈의 돌기에서 일어나 뒤통수뼈에 붙으며, 머리를 돌리거나 뒤로 당기는 데 작용을 한다.상-두사근 [上頭斜筋] : 뒤통수밑 근육 중 하나. 고리뼈의 가로 돌기에서 일어나 아래 목덜미선으로 붙으며, 머리를 돌리는 작용을 한다. 하-두사근 [下頭斜筋] : 여섯 개의 뒤통수밑 근육 가운데 하나. 중쇠뼈 가시 돌기에서 일어나 고리뼈 가로 돌기로 붙으며, 머리를 돌리는 작용을 한다. 두-반극근 [頭半棘筋] : 위쪽 등뼈와 아래쪽 목뼈에서 일어나 뒤통수뼈로 붙는 근육...

이론 2022.04.07

앉는자세와 골반 - 꼬아앉는 자세

사람은 앉아있는 자세만 가지고도 그사람의 체형을 어느정도 알 수가 있어요. 잠깐 앉아있는 정도로는 섣부른 답이 될 수도 있으니까 어느정도 지켜봐야 하겠죠. 어떤 지정된 자세를 해보라고 해서 알아내는 방법이 있구요, 그저 아무런 이야기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자연스러운 자세를 보고도 알 수 있지요. 일단 앉은 자세는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어요. 의자나 어떤 도구에 앉느냐, 바닥에 앉느냐로 나눌수 있을겁니다. 앉는 자세에는 엄청나게 많은 방법이 있어요.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있는 경우도 있고, 다리를 꼬아 앉는 경우, 쪼그려 앉는 경우, 기대앉는 경우 등등 굉장히 많습니다. 그러나 체크하는 방법은 간단해요. 골반의 상태만 보면 되는겁니다. 남성이나 여성이나 가장 많이 하는 자세중의 하나가 꼬아앉는걸 꺼에요...

이론 2021.09.12

체했을때의 방법

체했다는것은 소화가 안된다, 소화가 막혔다 라는 의미로도 볼 수 있죠. 이런 체함은 소화가 잘 안되는 음식을 먹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었을때, 혹은 맛이 있다고 너무 많이 먹었을때도 나타납니다. 음식을 너무 급하게 먹어도 체할수가 있고, 음식을 먹고 바로 눕게 되면 체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고 합니다. 이렇게 체하게 되면 속이 메스꺼리고, 구역질이 나거나 식은땀이 나기도 하고 두통이나 설사가 동반되기도 하는데요.. 이런 체함을 체기라고도 하고, 혹은 체증이라고도 하죠. 우리 선조들은 이렇게 체했을때 바늘로 엄지손가락의 손톱 아래부분을 찔러서 피를 나오게 했어요. 바늘을 소독한다고 불에 살짝 데우고(?) 굽고(?) 어떤 표현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아뭏든 이렇게 하고는 머리카락에 쓱쓱 문지르고서는 바늘로 찔..

이론 2021.09.03

골반 회전변형에 좋은 자세법

오늘은 골반의 회전변형에 대해서 그에 맞는 자세를 한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사람은 두발로 직립보행을 하지요. 이때 오른발을 디딜때와 왼발을 디딜때의 보폭이 같다면 골반의 회전변형은 없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그러나 이렇게 좌우의 보폭이 같은 사람은 사실 좀 드물어요. 어떤사람은 오른발을 디딜때의 보폭이 좀 더 넓고, 어떤사람은 왼발을 디딜때의 보폭이 좀 더 넓습니다. 좌우의 보폭이 다르다는건 골반이 회전변형이 되어 있다는 것이고, 골반이 회전변형을 이루면 그 위로 있는 요추도 같이 회전변형을 이루게 됩니다. 요추가 회전변형이 되면 그에따른 증상들이 생겨나게 되겠지요. 허리의 통증이 발생한다던지, 변비가 생긴다던지, 등등 말이죠. 좌우의 보폭이 같은지, 혹은 다른지 스스로 아는 방법이 있어요. 길을 걸으면서..

이론 2021.08.16

활법의 범위

오늘은 활법으로 할 수 있는 범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넓은 의미에서의 활법은 사람을 치료하는 모든 방법을 말하지만, 요즘의 활법은 척추를 통해서 인체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어떻게보면 활법의 범위가 매우 좁아진것 같지만, 또 다른면으로 보면 그만큼 전문적이 되었다고 볼 수도 있겠지요. 척추를 통해서, 척추를 관리함으로써 아프고 불편한곳을 해결하는 수기법이지만 아무리 활법의 기술이 좋다고 하더라도 활법이 만병통치의 기술은 아닙니다. 활법으로 할 수 있는 부분과 할 수 없는 부분, 해서는 안되는 부분들은 분명히 있지요. 이런 사항들은 활법을 하는 사람도, 활법을 받는 사람도 모두 알아야 할 부분입니다. 사람이 아프다보면 일반적으로 두가지 마음이 생깁니다. 첫째가 귀가 얇아지지요...

이론 2021.08.13

거북목 운동법

오늘은 거북목에 대한 운동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하는데요.. 사회가 발달하면서 누구나 휴대폰을 갖게 됨으로써 거북목증후군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진것 같습니다. 버스를 타거나 지하철을 타도 거의 모든 사람들이 휴대폰만 바라보고 있어요. 예전에는 신문을 보거나 책을 보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지금은 휴대폰으로 모든걸 볼 수 있잖아요? 눈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휴대폰을 자주 보다보니 거북이가 목을 뺀것과 비슷한 모양인 거북목증후군이 생기는겁니다. 이렇게 거북목증후군이 생기면 목과 어깨의 근육이 딱딱하게 굳어지겠죠. 근육이 굳으면 척추가 망가지기 시작합니다. 제자리에서 나쁘게 변형되기 시작한다는 말이에요. 거북목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목과 어깨의 근육이 굳어 있으니, 당연히 목이나 어깨가 뻐근하고 결..

이론 2021.08.08

골반 상향 - 깔창 대신 이것을 깔아라.

오늘은 골반의 경사중, 상하변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어느 한쪽 다리가 짧아 보일때에 대한 설명입니다. 골반은 우리몸을 지탱해주는 척추를 받쳐주고 있는 대들보 같은 뼈입니다. 골반은 복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몸통과 하지를 연결하고, 배 속의 장기를 보호하고 있는 뼈죠. 골반은 양쪽에 2개의 장골과 뒤쪽의 천골, 그리고 꼬리뼈인 미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골반은 위로 척추와 연결되고, 아래로는 하지를 연결해주고 있어서 우리가 걷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골반이 어떤 원인으로 하여 변형이 이루어지면 그 위로 연결되어 있는 척추가 중심을 잃고 변형이 시작됩니다. 특별한 사고가 아니라면 골반의 변형 없이 척추의 변형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골반은 우리몸이 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주 중요..

이론 2021.08.03

척추로 보는 이상 신호 - 목

오늘은 내몸이 말해주는 신호, 중에서 자세나 척추에 대해서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우리몸은 이상이 생겼을때 그에 대해 신호를 몸의 여러곳에 보내는데요.. 그것을 평소의 자세나 척추의 변형을 가지고 찾아보는 학문이 활법입니다. 우리몸에 이상이 생기면 우리몸은 주인에게 빨리 치료를 해서 정상적으로 만들어 달라는 신호를 보내는데요.. 이런 신호는 특정한 한곳에만 보내는게 아니라 여러곳으로 보냅니다. 예를들어 위장에 이상이 생긴다면 속이 더부룩한 느낌이 생기겠죠. 그러나 그런 증상 한가지만 보내는건 아니란 말입니다. 명치가 아프거나 합곡혈을 눌러도 아플수 있어요. 흉추6번 양쪽 주변의 근육을 지그시 눌러도 통증이 있고, 흉추6번의 척추가 살짝 변형이 되기도 하죠. 발바닥에서 엄지발가락쪽 아래로 움푹 들어가기 시작..

이론 2021.07.22

진통제에 대하여..

안녕하십니까? 대한바른자세연구회 이형석입니다. 오늘은 진통제에 대해서 말씀드려볼까 하는데요.. 몸이 아플때 진통제를 먹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참는게 좋을까요? 이걸 알기 위해서는 먼저 진통제가 뭔지를 알아야 하겠습니다. 진통제는 통증을 느끼는 신경의 작용을 둔하게 해서 두뇌에서 통증을 인지하지 못하게 합니다. 그러니까 통증의 원인을 없애는게 아니라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것이죠. 따라서 일시적 통증의 경감효과만을 지니는 겁니다. 진통제에는 경구투입을 통해 소화기로 섭취하는 내복약이 있구요, 혈류에 주사하여 투여하는 방법도 있지요. 일반 주사기로 한번에 넣는 방법이 흔히 알려져 있지만 링거처럼 장치를 이용해서 장시간 동안 일정한 양이 지속적으로 체내에 들어가게 하는 방법도 있고, 점착성의 표면에 도포하여 피..

이론 2021.07.18

허리디스크 운동법 한가지

안녕하십니까? 대한바른자세연구회의 이형석입니다. 그동안 주변사람들로부터 운동 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여러번 요청을 받았습니다. 사실 운동법을 처방한다는건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운동법에 대한 동영상을 어떻게 해야 할까.. 하고 많이 고민을 해봤는데요.. 많은 생각 끝에 한가지씩 올리는게 가장 낳겠다 싶은 마음이 들더군요. 여러가지 운동을 논하려면 그에대한 설명이 매우 복잡해지고, 또 알아듣는것도 쉽지 않을겁니다. 오늘은 디스크로 허리통증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운동법을 한가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디스크 돌출의 진단을 받은 사람이라면 제일 먼저 어느 부분의 디스크가 어떤 방향으로 돌출되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오른쪽 후방으로 디스크가 돌출되었을때 오른쪽 다리가 저린 증상이 나타나고, ..

이론 2021.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