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이론

활법 속성 이론 10편 : 견관절

전통활법 2010. 12. 9. 11:41

1. 견관절의 구조

 

 

 

 

 

 

 

 

 

 

 

 

 

 

 

 

 

 

 

 

 

 

 

 

 

 

 

 

 

 

 

 

 

 

 

 

 

 

 

 

1) 쇄골

 

흉쇄관절에서 외측으로 움직여 쇄골의 미끈한 전상면을 따라 밀고 올라가면서 쇄골을 만질수 있다.

쇄골에 부착된 근육들은 단지 하면과 후면에만 붙어 있을 뿐이고 전상면은 광경근이 붙어 있는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뼈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마른사람은 다양한 지점에서 쇄골을 가로지르는 쇄골 상신경을 느낄수도 있다.

 

 

2) 견봉

 

견봉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어깨의 가장 꼭대기에 해당한다.

이것은 어깨의 일반적인 외형을 만드는데, 이 벼의 앞뒤를 만져보면서 양쪽 어깨 높이를 비교할수 있다.

 

 

3) 상완골 대결절

 

견봉 외측연으로부터 견봉 외측 가장자리 하부에 위치한다.

견봉외측연과 대결절 사이에는 약간 턱이 져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상완골 대결절에는 여러 근육들이 정지하여 견관절 운동을 할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상완이두근구

 

대결절의 전내측에 위치한다.

내측은 소결절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팔을 외회전 하면 쉽게 만져볼 수 있다.

상완이두근구의 촉진은 조심스럽게 해야 하는데, 상완이두근구의 장두건은 활막에 의해 쌓여있기 때문이다.

너무 강하게 압박하면 손상을 받을수 있다.

 

 

5) 견갑골

 

견갑골은 두번째 늑골부터 일곱번째 늑골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내측연은 극돌기에서 약 5cm 떨어져 있다.

 

 

 

 

**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등 척추의 이상과

  산후요통, 좌골신경통, 변비, 두통, 불면증, 오십견, 소화불량등 척추의 이상때문에 올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하여

  최선을 다해 상담및 교정을 해드립니다.

 

**상담문의 : 02) 743-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