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진법
걸어 들어올때 환자의 태도와 머리의 위치를 살펴본다.
정상적이라면 머리는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되어 있고 신체의 동작과 협조를 이루어 부드럽게 움직여야 한다.
목 주위의 물집, 반흔, 변색과 같은 비정상적인 징후뿐 아니라 정상적인 특징도 살펴보아야 한다.
목 앞쪽의 수술 자국은 대개 과거의 갑상선 수술을 받았던 흔적을 나타내는 것이며, 목 앞의 전삼각부에 있는 불규칙한 반흔은 과거에 앓은 결핵성 림파선염의 흔적을 나타내는 것이다.
2. 설골
설골은 말의 편자 구조로 되어 있고 갑상연골 위에 있다.
수평면에서 볼때 설골은 경추 3번의 척추체와 대응하고 있다.
목의 전면에 있는 갑상연골의 바로 위에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컵을 감싸쥐듯 올려놓고 U자형의 설골 양쪽 뼈를 만져보기 위하여 집기동작으로 찾아본다.
환자가 침을 꿀꺽 삼킬때 설골의 움직임을 만져볼 수 있다.
3. 갑상연골
설골 밑으로 정중선을 따라 아래쪽으로 손가락을 움직여보면 갑상연골이 있고 약간 튀어나온 상갑상절흔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연골의 튀어나온 부분을 일반적으로 아담스 애플(일명 목젖)이라고 하며 경추 4번몸통 높이에 해당된다.
이 연골의 하부는 경추 5번 레벨로 표시된다.
갑상연골은 설골처럼 옆으로는 넓지 않지만 머리-꼬리 방향으로는 비교적 길다.
자료 : 이형석의 활법교본
**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등 척추의 이상과
산후요통, 좌골신경통, 변비, 두통, 불면증, 오십견, 소화불량등 척추의 이상때문에 올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하여
최선을 다해 상담및 교정을 해드립니다.
**상담문의 : 02) 743-7429
'척추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추 교정 이론 9편 : 목의 구조 (3) (0) | 2010.12.06 |
---|---|
활법 속성 이론 8편 : 목의 구조 (2) (0) | 2010.12.04 |
활법 속성 이론 6편 : 척추와 질병과의 관계 (0) | 2010.11.27 |
활법 속성 이론 5편 : 추간판의 구조와 기능 (0) | 2010.11.26 |
활법 속성 이론 4편 : 척추의 기능 (2) (0) | 201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