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제1 윤상연골
제1 윤상연골은 갑상연골의 뾰족한 하연의 바로 밑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추 6번의 반대편에 있다.
응급시 기관 절개술을 시행할때 이 부위의 바로 위에 실시한다.
제1 윤상연골은 너무 강하게 누르면 욕지기를 할수 있으므로 부드럽게 만져야한다.
갑상연골처럼 뚜렷하지는 않지만 침을 삼키도록 할때 만져볼수 있다.
5. 경동맥결절
제1 윤상연골에서 약 1인치 정도 외측으로 움직이면 경추6번의 횡돌기의 전결절인 경동맥결절을 만져볼수 있다.
경동맥결절은 작고 정중선에서 떨어져 있으며 심부의 근육에 있지만 확실히 만져볼수 있다.
경동맥결절은 좌우 따로따로 만져야 한다.
이유는 경동맥결절 옆으로 경동맥이 지나가기 때문에 양쪽을 동시에 누르면 경동맥 흐름을 제한해서 경동맥 반사가 일어난다.
경동맥결절은 흔히 경추5번과 6번의 수술을 위한 전방 진입로의 해부학적 표적이 되기도 하고 성상경부 신경절의 주사를 놓는 부위로도 이용된다.
6. 흉쇄유돌근
흉쇄관절에서부터 유양돌기까지 뻗어 있는 이 근육은 흔히 교통사고로 목의 과신전으로 인한 손상을 입었을때 신장된다.
이 근육은 건 모양의 기시부 근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흉쇄유돌근은 길고 관상모양으로 기시부에서 정지부까지 촉진할수 있다.
7. 림파절체인
림파절체인은 흉쇄유돌근으니 내측연을 따라 위치한다.
정상일때는 만져볼수 없으나 종창이되면 비대해져서 작은 혹처럼 만져볼수 있고 만지면 압통을 호소한다.
흉쇄유돌근 내에서 종창된 림파절은 보통 상기도의 감염을 의미하며 이것 역시 사경의 원인이 된다.
자료 : 이형석의 활법교본
**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등 척추의 이상과
산후요통, 좌골신경통, 변비, 두통, 불면증, 오십견, 소화불량등 척추의 이상때문에 올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하여
최선을 다해 상담및 교정을 해드립니다.
**상담문의 : 02) 743-7429
'척추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법 속성 이론 10편 : 견관절 (0) | 2010.12.09 |
---|---|
척추 교정 이론 9편 : 목의 구조 (3) (0) | 2010.12.06 |
활법 속성 이론 7편 : 목의 구조 (1) (0) | 2010.12.01 |
활법 속성 이론 6편 : 척추와 질병과의 관계 (0) | 2010.11.27 |
활법 속성 이론 5편 : 추간판의 구조와 기능 (0) | 2010.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