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현(馬齒莧), 백두옹(白頭翁) * 마치현(馬齒莧) : 비름나물의 일종. 모양이 말의 이빨과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질, 맹장염, 항문 통증, 지네에게 물렸을 때 독을 제거하는 효과. * 백두옹(白頭翁) : 할미꽃. 뿌리에 아네모닌(anemonin)이 함유되어 소염, 지사제(止瀉劑)로 쓰인다. 열성 설사, 지혈에 유효하다. 복통, .. 약초 2012.06.30
우황(牛黃), 칠엽일지화(七葉一枝花) * 우황(牛黃) : 심과 간의 열에 좋다. 중풍, 반신불수에 효과가 있다. * 칠엽일지화(七葉一枝花) : 열을 없애고 독을 제거한다. 부기를 내려주고 통증을 없애준다. 출혈시 뿌리를 갈아 그 가루를 바르면 효과가 있다. ** 활법의 좋은 점 1. 활법으로 할 수 있는 교정은 척추의 틀어짐, 디스크의.. 약초 2012.06.27
포공영(蒲公英), 자화지정(紫花地丁) * 포공영(蒲公英) : 민들레의 약명. 열을 없애고 해독. 오줌을 잘 통하게 하고 급성 유선염, 임파선염, 급성 결막염, 급성 편도체염, 급성 기관지염, 위염, 간염, 담낭염, 요도염에 쓰인다. * 자화지정(紫花地丁) : 제비꽃. 생인손에 효과가 있다. ** 활법의 좋은 점 1. 활법으로 할 수 있는 교정.. 약초 2012.06.26
황련(黃連), 금은화(金銀花) * 황련(黃連) : 베르베린(Berberine), 콥타신(Coptisine), 워레나인(Worenine), 팔마틴(Palmatine), 콜룸바민(Columbamine) 등이 함유되어 있어 세균성 이질, 폐결핵, 궤양성 결장염, 고혈압, 위축성 비염, 화농성 중이염에 효과가 있다. * 금은화(金銀花) : 인동초(忍冬草)의 꽃으로 열독(熱毒)을 없애고 소염 .. 약초 2012.06.21
하고초(夏枯草), 노근(蘆根) * 하고초(夏枯草) : 여름이 지나면 즉시 말라버리는 풀이라는 뜻. 간의 열을 내리고 혈압을 내려주며 항균작용이 강력하다. 이뇨작용, 관절염, 유선염(乳腺炎) 등에 효과가 있다. * 노근(蘆根) : 갈대의 뿌리. 열을 내리고 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열병으로 입이 마르거나 소변이 벌겋게 되었.. 약초 2012.06.19
시호(柴胡), 지모(知母) *시호(柴胡) : 나뭇가지와 뿌리를 사용. 사포닌(saponin)과 버프러로몰(bupleurumol) 등이 함유되어 있어 열을 내리고 간기울결(肝氣울結)로 오는 옆구리 통증, 두통, 감기, 생리불순, 생리통, 氣虛에서 오는 탈홍, 자궁탈수에도 쓰인다. * 지모(知母) : 항균작용, 해열작용, 변비, 열로 인한 소갈병.. 약초 2012.06.16
백지(白芷),갈근(葛根) * 백지(白芷) : 앤젤리톡신(Angelitoxin)이 들어 있어 혈관 운동, 신경 중추 호흡과 미주 신경, 척추를 흥분시켜 혈관 확장과 호흡운동을 활발하게 하며, 두통, 유행성 감기, 산후 두통, 어지러움, 치통, 안면신경통, 지혈작용, 관상동맥의 혈관 확장. * 갈근(葛根) : 잎과 뿌리를 쓴다. 뿌리에는 .. 약초 2012.06.13
형개(荊芥),신이(辛夷) * 형개(荊芥) : 신경계통의 기능 개선에 좋은 약효가 있다. 말초신경의 혈액을 촉진시키며, 체내의 열을 하강시킨다. 급성 편도선염, 인후염 산욕열(産褥熱) 등의 해열에 효과가 있다. * 신이(辛夷) : 목련꽃. 옥란화(玉蘭花), 영춘화(迎春花), 목모화(木芼花)라고 부르기도 한다. 심장과 비장.. 약초 2012.06.12
(약초)마황과 자소 * 마황(麻黃) 기침을 없애준다. 에페드린(ephedrine)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흥분시킨다. 혈관의 수축과 이완 작용을 돕는다. 방광, 괄약근의 장력(張力)을 증가시켜 유뇨증에도 효과가 있다. * 자소(紫蘇) 보라색 나는 깻잎. 해열작용, 항균작용, 혈당을 높여준다. 기를 순환시키고, 임산.. 약초 2012.06.09
산삼 * 산삼(山蔘) 소나무, 떡갈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오리나무, 피나무, 옻나무 등 낙엽이 잘 썩는 짙은 갈색 흙에서 나는데, 여름의 한 낮 온도가 섭씨 20도 정도 되는 서늘한 곳에서 자라며, 산도 pH 6.1- 6.3 정도 되는 흙에서 자란다. 산삼은 물을 좋아하나 습기를 싫어하고, 그늘을 좋아.. 약초 201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