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경
월경이 중단되는 폐경은 여성의 생식기능이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사용하는 갱년기라는 말은 육체적·정신적·성적 기능저하를 가져오는 시기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실제로 반드시 이러한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
폐경은 45~55세경에 나타나며 유전·영양상태·건강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 색인 : 노화).
여성의 약 8%가 40세 이전에 월경이 끝나는 조기폐경이 나타나며 난소를 외과적으로 절제하거나 X선 및 라듐을 투여해 파괴시켰을 때 인공폐경이 유도될 수 있다.
폐경기의 특징은 피부가 붉어지는 것인데 가슴 위쪽에서부터 시작해서 목·얼굴로 번져 때로는 몸전체에 나타나기도 한다(→ 색인 : 전신열감).
이러한 현상은 주로 밤에 나타나며 한기를 수반해서 수면을 방해하기도 한다.
신경과민증·두통·어지러움증도 폐경기의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데 이런 것은 폐경에 의한 변화라기보다는 나이를 먹어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변화된 생활양식 때문이다.
많은 여성들이 폐경과 더불어 체중 증가를 호소하는데 이것은 주로 갑상선 기능의 저하, 운동 부족, 음식섭취의 증가 때문이다.
** 활법의 좋은 점
1. 활법으로 할 수 있는 교정은 척추의 틀어짐, 디스크의 돌출, 골반의 변형, 고관절의 상태, 어깨관절, 팔꿈치와 손목, 손가락 관절, 무릎관절, 발목과 발가락 관절 그리고 턱관절 등 주로 뼈와 관절에 관련된 질환들이다.
2. 인체의 모든 질병을 척추와 연관시켜 보는 민속 수기법이다.
예를들어 경추1번은 뇌하수체 호르몬 영역, 경추 2번은 시신경, 청각신경의 영역, 흉추 2번은 심장과 관상동맥의 영역, 흉추 6번은 위장의 영역, 요추 1번은 대장과 임파순환계의 영역이다.
위장 장애로 소화가 안된다던지, 신물이 넘어 온다던지 하는 사람은 항상 흉추 6번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활법은 약물이나 주사, 수술을 하지 않고 오로지 맨손으로만 교정하는 대한민국 전통 수기법이다.
4. 활법으로 교정 가능한 질환은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척추만곡증, 산후요통, 오십견, 생리통,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좌골신경통, 골반교정, 고관절교정 및 탈골 등이다.
5. 활법은 자세교정과 운동교정을 바탕으로 체형교정과 척추교정을 병행한다.
6. 활법인은 사전에 어디가 아픈지 묻지 않고, 진단 후에 잘못된 부분과 그로인해 올 수 있는 질환들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X-ray나 MRI등 필름을 원하지 않으며, 어디가 불편해서 왔는지를 먼저 말 할 필요가 없다.
대한 바른자세 연구소 상담문의 : 02) 743-7429 010) 8965-7429
'인체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르몬 (hormone) (0) | 2012.10.02 |
---|---|
각질 (keratin ; 角質) (0) | 2012.09.25 |
부신 [adrenal gland, 副腎] (0) | 2012.08.23 |
어혈 [瘀血] (0) | 2012.06.25 |
오메가3 (0) | 201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