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전수(完全數)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를 더했을 때 다시 자기 수가 되는 수.
예를들면 6의 약수는 1.2.3.6인데, 6을 제외한 나머지 수 1.2.3을 모두 더하면 6이 된다.
또 28의 약수는 1.2.4.7.14.28인데 28을 제외한 나머지 수를 모두 더하면 28이 된다.
완전수는 마지막이 모두 6이나 28로 끝난다.
6보다 큰 완전수에는 28. 496. 8128. 33550336. 8589869056. 등이 있다.
이처럼 숫자가 커질수록 드물게 나타난다.
사람의 결혼 연령도 완전수로 적합한 28세에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는 의미도 있다.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척추측만증,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좌골신경통,고관절, 골반, 거북목, 일자목, 일자허리
척추전만, 척추후만등 척추 질환과
척추로 인해 발생하는 산후요통, 오십견,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시력감퇴등의 질환에 대하여
척추교정 및 자세교정, 운동교정을 해드립니다.
상담) 02) 743-7429
011) 9965-7429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지개는 왜 일곱 색깔일까? (0) | 2012.01.08 |
---|---|
의자왕은 정말 삼천 궁녀를 거느렸을까? (0) | 2012.01.07 |
주민등록번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0) | 2012.01.06 |
보신각 종은 왜 33번 칠까? (0) | 2012.01.04 |
약은 왜 식후 30분에 복용할까? (0) | 201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