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肝) 수치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 대사작용, 해독작용, 화학반응에 관여를 한다.
간이 안 좋으면 소화불량, 복부팽창, 황달, 만성피로, 피부 트러블, 구역질 등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간은 침묵의 장기라고 불릴 정도로 손상이 진행되어도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 부위 중 하나이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는 정도가 되면 이미 간은 손상이 많이 된 상태이다.
간 수치가 높을수록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며, 간 세포가 파괴되기 때문에 각종 간 관련 질환 위험성도 높아진다.
AST : 간세포, 심장세포 등에 존재하는 효소. 간세포가 손상을 받았을 때 농도가 증가함. 정상수치는 0~40 IU/L
ALT :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 간세포가 손상을 받으면 농도가 증가함. 정상수치는 0~40 IU/L
GGT : 간 내의 쓸개관에 존재하는 효소. 쓸개즙 배설 장애시 농도가 증가함. 정상수치는 남성 11~63 IU/L, 여성 8~35 IU/L
간 수치가 높아지는 원인 : B형간염 혹은 C형 간염의 감염. 지방간. 약제 혹은 건강 보조제의 복용. 알코올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간 수치가 높을 때 수술이 어려운 이유 : 수술 전후로 투여하는 마취제나 각종 약물(항생제, 진통제 등)에 대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수술 후 회복이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질병 :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만성간염. 간경변. 지방간. 황달. 쓸개관 폐쇄
간 수치를 낮추는 방법 : 가벼운 산책이나 유산소 운동, 금주. 금연. 정상체중 유지.
간 수치를 낮추는 음식 : 조개. 다슬기. 오미자. 대추. 생강. 쑥. 결명자. 칡. 등의 꾸준한 복용.
** 활법의 좋은 점
1. 활법으로 할 수 있는 교정은 척추의 틀어짐, 디스크의 돌출, 골반의 변형, 고관절의 상태, 어깨관절, 팔꿈치와 손목, 손가락 관절, 무릎관절, 발목과 발가락 관절 그리고 턱관절 등 주로 뼈와 관절에 관련된 질환들이다.
2. 인체의 모든 질병을 척추와 연관시켜 보는 민속 수기법이다.
예를들어 경추1번은 뇌하수체 호르몬 영역, 경추 2번은 시신경, 청각신경의 영역, 흉추 2번은 심장과 관상동맥의 영역, 흉추 6번은 위장의 영역, 요추 1번은 대장과 임파순환계의 영역이다.
위장 장애로 소화가 안된다던지, 신물이 넘어 온다던지 하는 사람은 항상 흉추 6번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활법은 약물이나 주사, 수술을 하지 않고 오로지 맨손으로만 교정하는 대한민국 전통 수기법이다.
4. 활법으로 교정 가능한 질환은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척추만곡증, 산후요통, 오십견, 생리통,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좌골신경통, 골반교정, 고관절교정 및 탈골 등이다.
5. 활법은 자세교정과 운동교정을 바탕으로 체형교정과 척추교정을 병행한다.
6. 활법인은 사전에 어디가 아픈지 묻지 않고, 진단 후에 잘못된 부분과 그로인해 올 수 있는 질환들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X-ray나 MRI등 필름을 원하지 않으며, 어디가 불편해서 왔는지를 먼저 말 할 필요가 없다.
대한 바른자세 연구회 상담문의 : 02) 743-7429 010) 8965-7429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쑥뜸 놓은 스님 무죄 판결 (0) | 2015.02.23 |
---|---|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3기 수료식 (0) | 2015.02.14 |
인공호흡 (0) | 2014.12.03 |
맹장의 역할 (0) | 2014.11.21 |
피부 감각 (0) | 201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