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원 및 변천
1961년 9월 14일 태권도 각 유파의 통합을 위한 준비위원회가 열렸는데, 조직준비위원으로는 이종우(李鍾佑)·엄운규(嚴雲奎)·윤쾌병(尹快炳)·노병직(盧炳稙)·이남석(李南石)·황기(黃崎)·남태희(南太熙) 등 7명이 선임되었다.
이들은 9월 19일 이사회 임원진을 구성하고, 당시 사용하던 태권·수박도·당수·공수 등의 명칭을 고려하여 대한태수도협회(大韓跆手道協會)로 협회 명칭을 정하였다.
1963년 2월 23일 대한체육회 정기대의원총회에서 가입승인을 받음으로써 대한체육회의 정식가맹 경기단체가 되었으며, 그 해 10월에 개최된 전국체전에서부터 정식경기종목이 되었다. 1965년 명칭을 대한태권도협회로 바꾸었다.
기능과 역할
1972년 태권도 중앙도장 겸 경기장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국기원을 설립하고, 1973년 제1회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를 개최하는 한편, 세계태권도연맹을 창설하였다.
1980년 7월 17일 제38차 IOC총회에서 태권도를 올림픽정식종목으로 승인한 이후 1988년 9월 제24회 서울올림픽경기대회와 1992년 8월 바르셀로나올림픽경기대회의 시범종목을 거쳐 2000년 시드니올림픽경기대회의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현황
1999년 현재 국내의 태권도 인구는 400여만명에 달하며 등록도장수는 약 7,000개이다.
대표적인 국내대회는 대통령기쟁탈전국단체대항전을 비롯하여 전국종별선수권대회, 전국최우수선수권대회, 국·중·고·대학연맹전 및 개인선수권대회 등이 있다.
** 활법의 좋은 점
1. 활법으로 할 수 있는 교정은 척추의 틀어짐, 디스크의 돌출, 골반의 변형, 고관절의 상태, 어깨관절, 팔꿈치와 손목, 손가락 관절, 무릎관절, 발목과 발가락 관절 그리고 턱관절 등 주로 뼈와 관절에 관련된 질환들이다.
2. 인체의 모든 질병을 척추와 연관시켜 보는 민속 수기법이다.
예를들어 경추1번은 뇌하수체 호르몬 영역, 경추 2번은 시신경, 청각신경의 영역, 흉추 2번은 심장과 관상동맥의 영역, 흉추 6번은 위장의 영역, 요추 1번은 대장과 임파순환계의 영역이다.
위장 장애로 소화가 안된다던지, 신물이 넘어 온다던지 하는 사람은 항상 흉추 6번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활법은 약물이나 주사, 수술을 하지 않고 오로지 맨손으로만 교정하는 대한민국 전통 수기법이다.
4. 활법으로 교정 가능한 질환은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척추만곡증, 산후요통, 오십견, 생리통,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좌골신경통, 골반교정, 고관절교정 및 탈골 등이다.
5. 활법은 자세교정과 운동교정을 바탕으로 체형교정과 척추교정을 병행한다.
6. 활법인은 사전에 어디가 아픈지 묻지 않고, 진단 후에 잘못된 부분과 그로인해 올 수 있는 질환들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X-ray나 MRI등 필름을 원하지 않으며, 어디가 불편해서 왔는지를 먼저 말 할 필요가 없다.
** 상담문의 : 02) 743-7429 010) 8965-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