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해부학

척수(脊髓 : spinal cord)

전통활법 2011. 12. 17. 10:08

 

척수는 뇌의 가장 밑에 존재하는 연수(延髓 : medulla)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흰색을 띠고 있으며 위쪽은 굵고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단면을 봤을때 중심쪽은 H 모양을 한 회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겉면은 동그란 백질로 둘러싸여 있다.

때문에 외부에서 봤을때 흰색을 띠는 것이다.

척수는 척추에 의해 보호되고 있으며, 척추는 척수를 지지해주는 역할도 한다.

척수는 척추의 뼈 안에 들어 있는 신경세포를 말한다.

 

* 척수의 구조

척수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신경다발이 뻗어 나와서 온몸으로 퍼진다.

이 신경다발의 위치에 따라 크게 다섯 부위로 나눈다.

경수(목 부위/ 8쌍), 흉수(가슴 부위/ 12쌍), 요수(허리 부위/ 5쌍), 천수 또는 선수(허리 아래부위/ 5쌍), 가장 끝 부분의 미수(꼬리뼈 부위/ 1쌍) 등 모두 31쌍의 신경이 척수에서 나온다.

 

* 척수의 기능

척수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뇌와 온몸의 신경계를 잇는 역할이다.

말초신경계에서 받아들이는 자극은 척수를 통해 집합하여 뇌를 올라가며, 뇌에서 보내는 운동신호는 적수로 내려와서 말초신경계로 보내진다.

이외에도 척수는 반사작용을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예를들어 무릎을 망치로 가볍게 치면 그 자극이 척수에 도착한 후 척수에서 다리를 올리는 근육반사를 만들어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척수는 자율신경계의 반사작용에도 관여하고 있으며,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에 모두 작용해서 내장기능 등을 조절한다.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척추측만증,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좌골신경통,고관절, 골반, 거북목, 일자목, 일자허리, 척추전만, 척추후만등 척추 질환과

척추로 인해 발생하는 산후요통, 오십견,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시력감퇴등의 질환에 대하여

척추교정 및 자세교정, 운동교정을 해드립니다.

상담) 02) 743-7429

011) 9965-7429

'인체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1.12.22
골수(骨髓 : bone marrow)  (0) 2011.12.19
천장관절  (0) 2011.12.14
보톡스(botox)  (0) 2011.12.12
바이오리듬  (0) 201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