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각신경(感覺神經, sensory nerve)
지각신경이라고도 한다.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눈이나 피부에 있는 감각기에 주어지면 감각신경을 거쳐서 척수와 대뇌피질까지 충격이 도달하여 감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와같이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전달되므로 감각신경은 전부 구심성 신경계통이며 원심성 운동신경계통및 자율신경계통에 필적하는 말초신경의 하나이다.
2. 감각신경의 종류
1) 후신경
2) 시신경
3) 동안신경
4) 삼차신경
5) 안면신경
6) 청신경
7) 설인신경
8) 미주신경
9) 척수신경(脊髓神經) : 추골과 추골 사이의 추간공에서 체절에 대응하여 좌우로 갈라져 나와 있으며 뇌에서 갈라져 나온 뇌신경과는 구분된다.
사람의 몸에는 31쌍의 척수신경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경신경(頸神經) 8쌍을 비롯하여 흉신경 12쌍, 요신경 5쌍, 천골신경 5쌍, 미골신경 1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척수신경은 각각 전근과 후근의 1쌍이 척수에서 갈라져 나온뒤 합쳐져서 하나가 되고 있다.
전근은 척수전각에서 나온 운동신경 다발로 운동을 일으키고, 후근은 척수후각에서 나온 감각섬유 다발(지각섬유 다발)로 감각을 전달한다.
척수신경은 추간공을 나오면 곧 교감신경과의 교통지를 이루는 동시에 다시 전지와 후지로 나누어진다.
전지는 일반적으로 후지보다 굵고, 팔, 다리를 포함하여 그 분포 영역이 넓다.
반대로 후지는 전지에 비해 가늘고, 등 중앙부의 피부와 심배근에 분포되어 있을 뿐이다.
전지는 흉신경을 제외하고는 상하의 것이 서로 연락하여 신경총(神經叢)을 이루며, 여러 높이의 척수신경이 재편성된 후에 가지 모양으로 갈라져 말초에 이른다.
이 신경총에는 경신경총, 완신경총, 요신경총, 천골신경총, 음부신경총등이 있다.
1) 후신경~ 8) 미주신경까지의 설명은 이론 27편의 뇌신경을 참조하세요.
**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등 척추의 이상과
산후요통, 좌골신경통, 변비, 두통, 불면증, 오십견, 소화불량등 척추의 이상때문에 올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하여
최선을 다해 상담및 교정을 해드립니다.
자료 : 이형석의 활법교본
문의 : 02) 743- 7429
'척추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추교정 이론 30편 : 기타신경 (0) | 2010.05.28 |
---|---|
척추교정 이론 29편 : 자율신경 (0) | 2010.05.27 |
척추교정 이론 27편 : 뇌신경 (0) | 2010.05.24 |
척추교정 이론 26편 : 바른자세 (0) | 2010.05.23 |
척추교정 이론 25편 : 몸의 무게중심 (0) | 2010.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