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이론

척추교정 이론 4편 : 추간판의 구조와 기능

전통활법 2010. 4. 21. 12:11

1. 추간판의 기능

 

 

 

 

 

 

 

 

 

 

 

 

 

 

추간판은 척추뼈를 연결해 주는 인대역할과 척추의 운동 중심적역할및 척추 충격 완충제역할을 한다.

물건을 허리로만 들어 올릴때 평소보다 10배의 압력을 받는다.

추간판의 압력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은 수핵인데,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수핵의 수분이 빠져나가면 수핵에 집중되던 압력이 섬유륜으로 이동되어 섬유륜이 잘 찢어질 수 있다.

 

 

2. 추간판의 신경

 

 

 

 

 

 

 

 

 

 

 

 

 

 

 

 

추간판은 손상을 받아도 통증을 느낄수 없다.

그러나 뒤세로인대에는 신경이 있어서 섬유륜이 찢어져 뒤세로인대를 자극하면 통증을 느끼게 된다.

 

 

3. 추간판 혈관

 

 

 

 

 

 

 

 

 

 

 

 

 

 

 

추간판은 혈관이 없는 인체의 부분중 가장 큰 조직이다.

섬유륜의 바깥 부분은 직접 혈류공급을 받으나, 수핵과 안쪽의 섬유륜은 척추뼈 속의 혈관이 척추 종판에서 끝나 이곳으로부터 추간판으로 산소와 영양분, 약물등이 확산되어 들어간다.

추간판은 인체의 다른 조직보다 빨리 퇴행변화가 일어나고 손상을 잘 받는다.

 

 

4. 추간판의 변화

 

수핵은 젤리처럼 말랑말랑하여 압력에따라 형태가 변한다.

몸을 한쪽으로 구부리면 추간판은 압력이 작은곳으로 이동하고, 정상자세를 하면 천천히 원래의 자리로 돌아온다.

추간판은 낮동안 중력의 압박으로 수분이 빠져나가 키가 작아지고 밤에 다시 커진다.

정상의 경우 저녁보다 아침의 키가 크다.

 

 

 

자료 : 이형석의 활법교본

 

**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등 척추의 이상과

  산후요통, 좌골신경통, 변비, 두통, 불면증, 오십견, 소화불량등 척추의 이상때문에 올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하여

  최선을 다해 상담및 교정을 해드립니다.

 

**상담문의 : 02) 743-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