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이론

척추교정 이론 3편 : 척추의 기능

전통활법 2010. 4. 20. 10:38

1. 척추의 굽이

 

 

 

 

 

 

 

 

 

 

 

 

 

 

 

척추는 모두 33개의 뼈와 23개의 추간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척추의 굽이는 S자 모양을 한다.

태어날때에는 목과 허리의 뼈가 직선 형태로 되어 있으나 석달이 지나 목을 가누면서 목뼈가 앞으로 볼록하게 굽어지고, 돌 가까이 되어 걷기 시작하면서 허리의 굽이가 생긴다.

 

 

2. 척추의 근육

 

 

 

 

 

 

 

 

 

 

 

 

 

 

 

척추를 지지하고 보호하며 여러방향의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척추로 전해지는 중력을 팔과 다리로 분산 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이 근육이 약화되어 분산 시키는 힘이 약해지면 추간판에 미치는 압력이 증가하므로 추간판탈출증이나 퇴행성디스크 발생이 높아진다.

 

 

3. 척추 인대

 

 

 

 

 

 

 

 

 

 

 

 

 

 

 

 

 

 탄력 섬유로 되어 있으며, 척추를 제자리에 있도록 붙들어주고 척추를 보호하며 균형을 잡아준다.

7종류의 인대가 있으며, 가장 큰 인대는 앞세로인대이고, 뒤세로인대는 손상시 통증을 유발한다.

 

 

4. 척추 혈관

 

 

 

 

 

 

 

 

 

 

 

 

 

목디스크의 경우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근 동맥을 누르면 동맥경련이 일어나거나 혈전 생성이되어 혈액순환 장애가 유발된다.

이 동맥이 돌출된 뼈나 디스크에 눌리면 척수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서 반신불수나 하반신마비가 올수도 있다.

 

 

5. 척추 신경 

 

 

 

 

 

 

 

 

 

 

 

 

 

 

 

 

신경은 뇌와 연결되어 신체 장기를 조절하고 감각정보를 뇌에 전달하며, 뇌로부터 운동 명령을 각 조직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뇌로부터는 직접 12쌍의 신경이 나오고, 뇌와 연결된 척수를 통하여 31쌍의 신경이 나온다.

척수로부터 신경이 나오는 부위를 신경근이라 하는데, 돌출된 디스크가 이곳을 누르면 방사통, 감각이상이나 마비등의 증상이온다.

척수는 2번 요추 부분에서 끝나며, 그 밑은 신경다발만 존재하는데 이것을 마미신경총이라 한다.

디스크 돌출이 심하여 마미신경총이 심하게 눌리면 요실금, 대변실금, 성기능저하, 진행성마비등이 나타나는데 이를 마미증후군이라 한다.

 

 

6. 척추 몸통

 

 

 

 

 

 

 

 

 

 

 

 

척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척추의 앞쪽을 이룬다.

신체하중의 90%가 여기에 걸리며 몸통앞으로는 혈관과 내장이 위치한다.

 

 

7. 척추 고리

 

 

 

 

 

 

 

 

 

 

 

 

 

척추관은 척수와 척추 신경이 있다.

어떻한 이유로 척추관이 협착되면 신경이 눌리게되어 오래도록 걷는것이 불편해지면 심하면 100m를 걷는데도 여러번 쉬어야 할만큼 불편하게 된다.

 

 

8. 척추 돌기

 

 

 

 

 

 

 

 

 

 

 

 

좌우 가로돌기(횡돌기)와 중앙의 가시돌기(극돌기)에 척추 근육이 붙어 있다.

 

 

** 자료 : 이형석의 활법교본

 

**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등 척추의 이상과

  산후요통, 좌골신경통, 변비, 두통, 불면증, 오십견, 소화불량등 척추의 이상때문에 올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하여

  최선을 다해 상담및 교정을 해드립니다.

 

**상담문의 : 02) 743-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