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눈 및 굳은 살 (corn, callus)
굳은살은 지속적인 피부의 압박이나 마찰로 인해 피부의 일부가 두꺼워지고 단단해지는 것을 말하며, 티눈에 비해 크기가 크고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다.
- 원인
- 티눈이나 굳은살 모두 피부에 가해지는 마찰이나 압력 같은 기계적인 자극으로 인해 발생한다.
- 예를 들면 맞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거나 오래 걷는 등 운동을 심하게 하거나 글을 자주 쓰는 직업에서 피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
- 증상
- 티눈은 위에서 누르면 아픈 특징이 있고, 발바닥의 티눈 경우 염증이 생기거나 티눈 부위에 고름이 차면 통증이 심해 잘 걷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 티눈은 딱딱한 정도에 따라 크게 딱딱한 경성 티눈과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연성 티눈으로 나눌 수 있다.
- 경성 티눈은 연성티눈에 비해 흔하며, 압력이 가해지는 신체 부위에 모두 발생 가능하지만 주로 손과 발에 잘 생기고, 티눈의 윗부분을 깎아내면 병변의 가장 조밀한 부위에서 핵이 나타난다.
- 환자들은 티눈 부위에서 무딘 느낌이나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 연성 티눈은 주로 4~5번째 발가락 사이에 발생하며 땀에 의해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부드럽고 축축한 경우가 많다.
- 티눈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걸을 때 통증을 느끼거나 물집, 출혈, 궤양, 염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굳은살은 손바닥이나. 발바닥, 뼈가 튀어나온 부위 같이 압력을 받는 부위에 잘 생긴다. 굳은살은 티눈에 비해 비교적 크기가 크고, 중심핵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 증상
- 진단
- 압력이 가해지는 피부 부위에 부분적으로 살이 딱딱해지고 두꺼워지는 모양으로 진단을 할 수 있고, 비교적 넓은 부위가 나타날 때는 굳은살을 의심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원뿔모양이 나타날 때는 티눈을 의심할 수 있다.
- 검사
- 티눈과 굳은살을 진단하기 위한 특별한 검사 방법은 없다.
- 티눈은 사마귀와 달리 각질을 깎아냈을 때, 검은 점 모양의 점상출혈을 보이지 않고, 중심핵이 관찰되며, 위에서 눌렀을 때 아픈 특징이 있다.
- 치료
- 티눈이나 굳은살은 치료가 비슷한데, 마찰이나 압력이 피부에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발에 맞는 편안한 신발을 신거나 패드 등을 통해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티눈이나 굳은살을 완전히 치료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피부 각질을 용해시켜주는 살리실산(salicylic acid)이나 젖산(lactic acid) 도포제, 티눈고 등을 사용하여 각질이 연해지면 깨끗한 면도날 등으로 조심스럽게 깎아내고 소독한다. 이 외에도 냉동치료를 시행하면 티눈의 증상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연성 티눈의 경우에는 각질 용해제 도포 외에도 티눈을 잘라주는 수술적인 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으나, 티눈의 원인이 제거되지 않으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뼈의 돌출로 인해 생긴 경우에는 돌출된 뼈를 제거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
** 활법의 좋은 점
1. 활법으로 할 수 있는 교정은 척추의 틀어짐, 디스크의 돌출, 골반의 변형, 고관절의 상태, 어깨관절, 팔꿈치와 손목, 손가락 관절, 무릎관절, 발목과 발가락 관절 그리고 턱관절 등 주로 뼈와 관절에 관련된 질환들이다.
2. 인체의 모든 질병을 척추와 연관시켜 보는 민속 수기법이다.
예를들어 경추1번은 뇌하수체 호르몬 영역, 경추 2번은 시신경, 청각신경의 영역, 흉추 2번은 심장과 관상동맥의 영역, 흉추 6번은 위장의 영역, 요추 1번은 대장과 임파순환계의 영역이다.
위장 장애로 소화가 안된다던지, 신물이 넘어 온다던지 하는 사람은 항상 흉추 6번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활법은 약물이나 주사, 수술을 하지 않고 오로지 맨손으로만 교정하는 대한민국 전통 수기법이다.
4. 활법으로 교정 가능한 질환은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척추만곡증, 산후요통, 오십견, 생리통,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좌골신경통, 골반교정, 고관절교정 및 탈골 등이다.
5. 활법은 자세교정과 운동교정을 바탕으로 체형교정과 척추교정을 병행한다.
6. 활법인은 사전에 어디가 아픈지 묻지 않고, 진단 후에 잘못된 부분과 그로인해 올 수 있는 질환들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X-ray나 MRI등 필름을 원하지 않으며, 어디가 불편해서 왔는지를 먼저 말 할 필요가 없다.
대한 바른자세 연구소 상담문의 : 02) 743-7429 010) 8965-7429
'인체질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두 (Varicella (Chickenpox)) (0) | 2012.10.09 |
---|---|
사마귀(wart) (0) | 2012.10.05 |
홍역 (measles) (0) | 2012.09.26 |
기면증 narcolepsy (0) | 2012.09.20 |
치매 (dementia) (0) | 201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