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이론

활법 속성 이론 20편 : 턱관절

전통활법 2011. 1. 16. 15:49

 

 

측두 하악 관절은 보행과 같이 관절이 움직일 때의 유각기와 입을 다물고 있을 때의 입각기가 있다.

유각기에서 턱을 열고 닫는 리듬을 관찰해보면 정상일 때 대칭적이고 연속적으로 여닫을 수 있다.

하악골의 움직임이 비대칭이거나 비뚤어짐이 없어야 한다.

하악은 치아와 함께 일직선상으로 작용하면서 쉽게 열었다 닫았다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병변이 있는 관절은 정상적인 관절 운동 범위를 수행할 수 없으며 이때 환자는 불완전하게 비대칭적으로 여닫는 운동을 하게 되고 통증을 수반한다.

심하면 딸가닥하는 소리가 나며 습관성 탈구가 되기 쉽다.

입각기에서 턱은 정상적으로 중심에 있고, 치아는 정중선에 대칭적으로 맞물려 있다.

 

 

측두 하악 관절을 촉진하려면 시범자의 시지를 외이도에 넣고 앞쪽으로 누른다.

환자에게 입을 천천히 열었다 닫았다를 해보라고 지시한다.

 

 

정상적으로 앞니 사이로 세개의 손가락이 옆으로 들어갈 정도로 입을 벌릴 수 있다.

 

 

자료 : 이형석의 활법교본

문의 : 02) 743-7429

 

**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등 척추의 이상과

  산후요통, 좌골신경통, 변비, 두통, 불면증, 오십견, 소화불량등 척추의 이상때문에 올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하여

  최선을 다해 상담및 교정을 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