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이론

활법 속성 이론 15편 : 고관절 (2)

전통활법 2010. 12. 26. 14:07

2. 고관절의 제한 기준

 

 

똑바로 눕히고 양쪽 다리를 중립위로 한 다음 시범자의 전완은 복부를 가로지르고 손으로 반대편 전상 장골극을 잡음으로써 골반을 고정시킨다.

다른 손으로 발목을 잡고 부드럽게 발을 벌릴 수 있는 만큼 외전시킨다.

시범자는 고관절 외전의 마지막 지점에서 골반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외전은 내전보다 자주 병변에 의해서 제한 되어진다.

고관절의 정상 외전은 45~50도 이다.

 

시범자는 한손으로 반대쪽의 골반을 고정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발목을 잡고 신체의 정중선을 가로질러 반대측 하지로 움직인다.

시범자는 고관절 내전의 마지막 지점에서 골반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대퇴부가 너무 굵은 사람은 연부조직 때문에 어느정도 고관절 내전 운동 범위의 제한을 받게 된다.

고관절의 정상 내전은 20~30도 이다.

 

 

 

고관절 회전을 측정할 때는 고관절 신전 상태와 고관절 굴곡 상태 양쪽에서 모두 시행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해도 다른 상태에서는 회전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관절의 신전이 보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능이기에 고관절 신전 상태에서 회전을 검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똑바로 눕힌 자세에서 양쪽 하지를 신전시키고 족관절 과부 바로 위를 잡고 슬개골의 근위단을 기준으로 고관절을 내회전, 외회전시켜서 그 각도를 알아본다.

 

 

그림과 같이 앉게 하고 대퇴를 검사하는 동안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발목을 잡고 경골과 비골을 지렛대로 삼아 고관절을 내,외회전 시킨다.

 

 

고관절의 정상 굴곡은 약 135도 이다.

 

 

 자료 : 이형석의 활법교본/척추와 사지의 검진

** 상담 : 02) 743-7429

 

**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등 척추의 이상과

  산후요통, 좌골신경통, 변비, 두통, 불면증, 오십견, 소화불량등 척추의 이상때문에 올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하여

  최선을 다해 상담및 교정을 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