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포 [pulmonary alveolus, 肺胞]
** 폐포 [pulmonary alveolus, 肺胞] 해부학 브리태니커
이산화탄소가 혈액에서 빠져나오고 산소가 혈액으로 들어가는 장소이다.
숨을 들이쉴 때 폐로 들어간 공기는 기관지라고 하는 수많은 통로를 지나 세기관지, 즉 더욱 가느다란 통로 끝에 달린 약 3억 개에 이르는 폐포 속으로 흘러들어간다.
숨을 내쉬는 동안 이산화탄소가 많이 들어 있는 공기가 폐포 밖으로 밀려나 똑같은 길을 따라 나간다.
폐포는 폐포낭이라고 하는 마치 포도송이같이 생긴 덩어리를 이룬다.
이런 식으로 유추하면, 폐포낭이 달려 있는 폐포관은 포도 알맹이가 달린 줄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으나, 포도와는 달리 폐포낭은 몇 개의 폐포로 이루어진 주머니와 비슷한 구조이다.
수많은 모세혈관이 들어 있는 폐포의 얇은 벽은 확산에 의해 가스 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산소는 상대적으로 용해도가 낮아(따라서 확산 속도도 낮음) 넓은 표면적(약 80㎡)과 아주 얇은 벽이 필요하다.
모세혈관 사이를 엮어주고 모세혈관들이 지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탄력섬유와 교원질섬유로 된 체처럼 생긴 조직이다.
좀더 단단한 교원질섬유는 폐포 벽을 단단하게 해주는 반면, 탄력섬유는 숨쉴 때 폐포 벽이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할 수 있게 해준다. 폐포 벽에서 볼 수 있는 세포들 중 과립상폐세포(顆粒狀肺細胞:제Ⅱ형 세포)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폐포의 표면장력을 낮추어주는 것으로 생각되는 지방질 막(膜)을 분비한다.
이러한 막이 없다면 폐포는 쭈그러들게 될 것이며, 이것들을 다시 팽창시키려면 엄청난 힘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폐포대식세포(肺胞大食細胞)라고 하는 다른 종류의 세포는 폐포·폐포관·세기관지 안을 떠돌아다닌다.
이 세포들은 움직이는 청소부로서 폐 안에서 먼지, 세균, 탄소 입자, 상처에서 나오는 혈액세포 같은 이물질을 삼켜버린다.
** 활법의 좋은 점
1. 활법으로 할 수 있는 교정은 척추의 틀어짐, 디스크의 돌출, 골반의 변형, 고관절의 상태, 어깨관절, 팔꿈치와 손목, 손가락 관절, 무릎관절, 발목과 발가락 관절 그리고 턱관절 등 주로 뼈와 관절에 관련된 질환들이다.
2. 인체의 모든 질병을 척추와 연관시켜 보는 민속 수기법이다.
예를들어 경추1번은 뇌하수체 호르몬 영역, 경추 2번은 시신경, 청각신경의 영역, 흉추 2번은 심장과 관상동맥의 영역, 흉추 6번은 위장의 영역, 요추 1번은 대장과 임파순환계의 영역이다.
위장 장애로 소화가 안된다던지, 신물이 넘어 온다던지 하는 사람은 항상 흉추 6번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활법은 약물이나 주사, 수술을 하지 않고 오로지 맨손으로만 교정하는 대한민국 전통 수기법이다.
4. 활법으로 교정 가능한 질환은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척추만곡증, 산후요통, 오십견, 생리통,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좌골신경통, 골반교정, 고관절교정 및 탈골 등이다.
5. 활법은 자세교정과 운동교정을 바탕으로 체형교정과 척추교정을 병행한다.
6. 활법인은 사전에 어디가 아픈지 묻지 않고, 진단 후에 잘못된 부분과 그로인해 올 수 있는 질환들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X-ray나 MRI등 필름을 원하지 않으며, 어디가 불편해서 왔는지를 먼저 말 할 필요가 없다.
대한 바른자세 연구소 상담문의 : 02) 743-7429 010) 8965-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