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궁(Cnidium officinale)
** 천궁(Cnidium officinale)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흔히 재배하는 식물로 키는 30~60㎝이다.
잎은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난형(卵形)의 잔잎은 깃털처럼 깊게 패어 있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밑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흰색의 꽃은 겹산형[複傘形]꽃차례에 달리며 총포(總苞)와 작은 총포는 각각 5~6개로 선형이고 열매는 익지 않는다.
한국에는 같은 천궁속(川芎屬 Cnidium)에 속하는 식물로 잎이 깃털 모양의 겹잎이고 열매에 날개 같은 능선이 각각 10개가 있는 벌사상자(C. monnieri)·개회향(C. tachiroei)과 바닷가에서 비스듬히 자라고 겹산형꽃차례가 아닌 갯사상자(C. japonicum)가 자생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음위·간질·대하·치풍 치료에 쓰고 보익제·진정제·진통제·강장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 약제로 쓰는 천궁은 고르지 못한 혹 모양으로 덩어리를 이룬 뿌리줄기인데 길이 2~7㎝, 지름 2~5㎝이며 흔히 목심(木心)이 노출되어서 연쇄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암갈색을 나타내고 쭈글쭈글하며 도처에 평행한 결절상윤대(結節狀輪帶)와 근흔(根痕)이 있다.
쪼갠 면은 거칠고 연한 갈색이나 유황색을 나타내고 강한 방향(芳香)이 있다.
7~8월에 천궁이 완전히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精油), 알코올, 페놀성 물질, 새다논산 등이 있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쓰다.
주로 간경·담경·심포경(心包經)에 작용하며 삼초(三焦)에도 작용한다.
천궁의 효능으로는 활혈행기(活血行氣)·거풍지통(祛風止痛:풍사를 제거해서 통증을 치료함)이 있다.
월경통·희발월경(稀發月經)·과소월경(過小月經)·무월경(無月經) 등으로 입술색이 담백하고 안면이 창백하며 하복통 등의 혈허증상(血虛症狀)이 있을 때는 천궁을 사용해서 활혈시키고 진통하며, 아울러 다른 양혈약(養血藥)을 배합한다.
천궁의 성미(性味)는 신산(辛散)하여 거풍력(祛風力)이 강하므로 주로 풍한감(風寒感)의 두통이나 풍습(風濕)으로 인한 편두통에 유효하다.
따라서 온갖 두통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간기울결(肝氣鬱結)로 인한 어혈두통(瘀血頭痛), 즉 신경증 등으로 인한 자율신경 실조로 두부혈관의 수축·확장에 장애가 생겼을 때 시호(柴胡)·지각(枳角)·적작약(赤芍藥)·도인(桃仁)·홍화(紅花) 등을 배합하여 간울(肝鬱)을 해소하고 활혈해서 거어지통(祛瘀止痛) 한다.
풍습이나 기체(氣滯)로 인한 혈관폐색이나 근육에 대한 혈액의 영양장애 등으로 인해 생긴 전신의 동통·마목(麻木)·마비에 사용한다. 다발성신경염·뇌혈관연축(腦血管攣縮)·뇌혈전후유증 등으로 인한 마비·류머티즘·만성신경염류머티즘 등에 의한 동통·마목·경련 등에 천궁을 다른 거풍양혈약과 같이 사용한다.
이밖에 혈류를 촉진하여 다른 약의 작용을 도움으로써 담마진·습진 등에도 많이 배합된다.
이때 용량은 적은 편이 좋다. 그러나 월경이 너무 많거나 출혈성 질환, 음허화왕(陰虛火旺) 등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 활법의 좋은 점
1. 활법으로 할 수 있는 교정은 척추의 틀어짐, 디스크의 돌출, 골반의 변형, 고관절의 상태, 어깨관절, 팔꿈치와 손목, 손가락 관절, 무릎관절, 발목과 발가락 관절 그리고 턱관절 등 주로 뼈와 관절에 관련된 질환들이다.
2. 인체의 모든 질병을 척추와 연관시켜 보는 민속 수기법이다.
예를들어 경추1번은 뇌하수체 호르몬 영역, 경추 2번은 시신경, 청각신경의 영역, 흉추 2번은 심장과 관상동맥의 영역, 흉추 6번은 위장의 영역, 요추 1번은 대장과 임파순환계의 영역이다.
위장 장애로 소화가 안된다던지, 신물이 넘어 온다던지 하는 사람은 항상 흉추 6번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활법은 약물이나 주사, 수술을 하지 않고 오로지 맨손으로만 교정하는 대한민국 전통 수기법이다.
4. 활법으로 교정 가능한 질환은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척추만곡증, 산후요통, 오십견, 생리통,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좌골신경통, 골반교정, 고관절교정 및 탈골 등이다.
5. 활법은 자세교정과 운동교정을 바탕으로 체형교정과 척추교정을 병행한다.
6. 활법인은 사전에 어디가 아픈지 묻지 않고, 진단 후에 잘못된 부분과 그로인해 올 수 있는 질환들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X-ray나 MRI등 필름을 원하지 않으며, 어디가 불편해서 왔는지를 먼저 말 할 필요가 없다.
대한 바른자세 연구소 상담문의 : 02) 743-7429 010) 8965-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