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활법 2012. 4. 17. 10:05

**  코 (鼻 , nose)

 

기도(氣道)의 입구 역할을 하며 후각기관을 포함하고 있다.

냄새를 맡으며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고 여과하며 따뜻하고 습하게 만든다.

또한 공기를 들이마실때 들어오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코에는 연골벽으로 분리된 2개의 강이 있다.

바깥쪽으로 나 잇는 구멍을 콧구멍(鼻孔)이라 한다.

구개골이 입천장과 비강(鼻腔)의 아랫면을 형성하는데, 입부분의 구개골을 보통 경구개(硬口蓋)라고 한다.

연구개(軟口蓋)는 코인두까지 뻗어 있어 음식을 삼킬때 위쪽에서 누르면 코인두가 닫히게 되어 음식물이 코 뒤쪽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비강은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비강의 앞부분을 코전정이라 한다.

코전정 뒤로 각 외벽을 따라 보통 앞쪽에서 뒤쪽으로 점차 뻗어 올라가는 3개의 융기가 있다.

위비갑개, 중간비갑개, 아래비갑개라고 부르는 각 융기는 공기 통로에 튀어나와 있다.

비강에서 후각에 관계된 부분은 위비갑개의 윗부분과 주변이다.

나머지는 호흡을 위한 부분으로 섬세한 머리카락과 같은 돌기인 섬모가 있는 습한 점막으로 되어 있다.

막벽에 있는 세포에서 분비되는 점액은 먼지, 탄소, 검댕, 세균 입자를 걸러낸다.

부비동(副鼻洞)은 코 양쪽에 있는 두개골 내에 있다.

후각 영역의 대부분은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일부만 실제 감각기관인 신경세포로 되어 있다.

신경세포에서 비강으로 뻗어 있는 수상돌기라고 하는 섬유들은 얇은 수분층으로만 덮여 있다.

이 수분은 공기를 통해 냄새나는 물질로부터 코로 운반된 미세한 입자들을 녹이며, 그 입자들은 후각신경세포를 화학적으로 자극한다.

 

 

** 활법의 좋은 점

 

1. 활법으로 할 수 있는 교정은 척추의 틀어짐, 디스크의 돌출, 골반의 변형, 고관절의 상태, 어깨관절, 팔꿈치와 손목, 손가락 관절, 무릎관절, 발목과 발가락 관절 그리고 턱관절 등 주로 뼈와 관절에 관련된 질환들이다.

 

2. 인체의 모든 질병을 척추와 연관시켜 보는 민속 수기법이다.

 예를들어 경추1번은 뇌하수체 호르몬 영역, 경추 2번은 시신경, 청각신경의 영역, 흉추 2번은 심장과 관상동맥의 영역, 흉추 6번은 위장의 영역, 요추 1번은 대장과 임파순환계의 영역이다.

위장 장애로 소화가 안된다던지, 신물이 넘어 온다던지 하는 사람은 항상 흉추 6번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활법은 약물이나 주사, 수술을 하지 않고 오로지 맨손으로만 교정하는 대한민국 전통 수기법이다.

 

4. 활법으로 교정 가능한 질환은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척추만곡증, 산후요통, 오십견, 생리통,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좌골신경통, 골반교정, 고관절교정 및 탈골 등이다.

 

5. 활법은 자세교정과 운동교정을 바탕으로 체형교정과 척추교정을 병행한다.

 

6. 활법인은 사전에 어디가 아픈지 묻지 않고, 진단 후에 잘못된 부분과 그로인해 올 수 있는 질환들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X-ray나 MRI등 필름을 원하지 않으며, 어디가 불편해서 왔는지를 먼저 말 할 필요가 없다.

 

** 상담문의 : 02) 743-7429      010) 8965-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