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질병학

상사병(相思病)

전통활법 2011. 11. 15. 13:44

 

춘추전국시대 송(宋)나라 말기 강왕(康王)은 주색을 광적으로 탐닉했다.

강왕의 시종 한빙(韓憑)에게는 절세미인의 부인 하씨가 있었는데, 강왕은 하씨를 강제로 능욕한 후 후궁으로 삼았다.

강왕은 한빙에게 죄를 뒤집어 씌우고 형벌에 처했다.

얼마후 한빙은 아내를 너무 그리워한 나머지 자살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하씨는 성 위에서 투신하면서 남편과 합장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 유언에 화가 난 강왕은 의도적으로 무덤을 서로 떨어지게 하였다.

그날 밤부터 나무 두 그루가 자라더니 10일 후엔 큰 아름드리 나무가 되었고, 나무 위에는 한 쌍의 원앙새가 서로 목을 안고 슬피 울었다.

이를 본 사람들은 원앙새를 죽은 부부의 넋이라고 생각했고, 그 나무를 상사수라고 불렀다.

이때부터 상사병이라는 말이 시작되었으며, 상사병은 서로를 그리뤄하지만 맺어지지 못한 사랑을 말할 때 쓰이는데, 현재에 와서는 괴롭고 견디기 힘든 혼자만의 짝사랑을 말할 때 상사병에 걸렸다고 한다.

 

 

 

 

이형석 척추교정 운동원에서는 척추측만증,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좌골신경통,고관절, 골반, 거북목, 일자목, 일자허리, 척추전만, 척추후만등 척추 질환과, 척추로 인해 발생하는 산후요통, 오십견, 변비, 소화불량, 두통, 불면증, 감기, 시력감퇴등의 질환에 대하여 척추교정 및 자세교정, 운동교정을 해드립니다.

상담문의 : 02) 743-7429      휴대폰 : 011-9965-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