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법

척추교정 운동법 24편 : 턱관절

전통활법 2009. 1. 31. 15:10

1.턱관절 이론

 

외이도의 바로 앞쪽에 위치한 측두 하악관절은 많은 근육들로 덮여있기 때문에 피부 표면에서는 외형을 명백히 알기 어렵다.

시진은 하악골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하악골은 그 양단에 관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하지에서 처럼 턱을 열고 닫는 리듬을 관찰해보면 정상일때 아크모양은 대칭적이고 연속적으로 여닫을 수 있다.

하악은 치아와 함께 일직선 상으로 작용하면서 쉽게 열었다 닫았다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병변이 있는 관절은 불완전하게 비대칭적으로 여닫는 운동을 하게 되고 통증을 수반한다.

심하면 딸가닥하는 소리가 나며 습관성 탈구가 되기도 한다.

 

체중부하는 치아를 통해 상악까지 전달되기 때문에 측두 하악관절의 입각기는 순수한 체중부하 관절은 아니다.

그러나 치아가 불량하거나 입을 강하게 꽉 다물었을때 측두 하악관절은 하중 관절이 된다.

 

 

 

 

 

 

그림 1   하악운동의 정상과 비정상

 

 

 

 

 

 

 

 

 

 

 

그림 2   외익상근의 촉진

 

시범자의 시지를 외이도에 넣고 앞쪽으로 누른다.

환자에게 입을 천천히 열었다 닫았다 해보라고 지시한다.

 

 

 

 

 

 

 

 

 

 그림 3  

 

정상적인 경우 앞니 사이로 세 개의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입을 벌릴수 있다.

 

 

 

 

 

 

 

 

 

 

 

 

 

 

 

 

 

그림 4   크보스텍 검사

 

교근 위에 있는 이하선 부분을 두드린다.

혈액내의 칼슘치가 저하되면 안면근은 연축이 일어나면서 수축된다.

 

 

 

 

 

 

 

 

 

 

 

 

 그림 5  

 

입을 약간 벌리고 있는 상태로 하고 턱의 치아부분 위에 시범자의 손가락을 놓고 함마로 손가락을 살짝 친다.

반사가 일어나면 입을 다물게 되고(정상), 반사가 없거나 감소된 경우는 삼차신경의 경로를 따라 병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턱관절 보조법

 

 

 

 

 

 

 

 

 

 

그림 6

 

환자를 눕히고 고개를 돌리게 한다.

손바닥을 이용하여 하악관절의 근육을 풀어주는데, 안아픈쪽을 먼저 하고 아픈쪽은 나중에 3배의 시간 정도 풀어준다.

 

 

 

 

 

 

 

 

 

 

 

그림 7

 

깨끗한 수건을 입 속에 넣고, 양 엄지손가락을 입 속에, 다른 손가락은 턱을 감싸잡는다.

천천히 아랫쪽으로 당겼다가 순간적으로 힘을 뺀다.

 

 

 

상담 : 이형석 척추교정운동원  02) 743-7429